'인생의 시간표를 작성하라'
자기 인생에 대한 확고한 시간표를 갖지 못한 사람은 단 한발짝도 앞으로 전진하지 못한 채로 20대의 대부분을 허비하게 되고, 그렇게 20대를 보낸 사람은 30대, 40대 역시 아무런 소득 없이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초등학교 시절에 정해진 시간표대로 공부했기 때문에 오늘의 내가 있고 여러분이 있습니다.
'음지식물의 강건함을 배우라'
20대는 영광의 열매만이 보이는 시기입니다.
무시당했다는 그것 자체로 이미 인정받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최선을 다해야 하는 20대에는 인정받기보다는 무시당하는 경우가 훨씬 더 많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100권의 책을 1년 목표로 독파하라'
20대 전반까지는 교육에 의해 지배되지만, 30대 이후의 삶은 지혜의 지배를 받기 때문에 한번 격차가 벌어지면 도무지 따라잡을 수가 없게 됩니다.
'가능한 한 많은 나라에서 똥을 누어 보라'
자신의 존재와 자신이 속한 사회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해 볼 기회를 갖게 된다. 20대의 눈에 비치는 다른 세계의 모습은 평생 동안 당신의 외지에서 떠나지 않고 당신을 움직이는 원천이 될 것입니다. 당신이 똥을 눈 곳은 이미 당신의 지배 하에 있습니다.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라.'
20대에는 결정권이 없습니다. 좋아하는 일을 선택할 수가 없습니다. 좋아하는 일을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더욱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구애되어야만 합니다. 만일 자포자기한 상태에서 좋아하는 일을 포기한다면, 이윽고 30대가 되어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도록 되었을 때는 에전에 무엇을 좋아했는지를 떠올릴 수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팽팽한 긴장의 순간을 즐겨라'
지하철에 타고 있는 대학생이나 샐러리맨들은, 어째서 죽은 물고기처럼 칙칙한 눈으로 다니는 것일까요? 긴장감이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재수생이나 취업준비생은 궁지에 몰려있습니다. 위기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눈동자의 번뜩임은 긴장감에서 생깁니다. 그리고 긴장감은 자신이 하고 싶은 목표나 꿈을 갖는 것으로 해서 더욱 힘차게 솟구칩니다. 열등감과 수치심에서 긴장감이 생기는 법입니다. 지금 잡고 있는 밧줄을 절대로, 절대로 놓치지 마십시오.
'틀려도 좋으니 당신 생각을 말하라.'
'일단은 졸업, 일단은 취업, 일단 결혼하고' 일단이라고 말하는 사이에 환갑이 되어 버리는 것입니다. '일단'이라는 것은 결론을 뒤로 지연시키는 인생관에서 나옵니다. 틀려도 좋습니다. 지금 당장 결단을 내리십시오. 틀리는 것이 두려워 회피한다면 당신의 20대는 황량한 박토가 되고 맙니다. 지금 이 상황이 어렵고 힘들지만 반드시 극복하고 말겠다는 자세가 당신이 밟고 서 있는 땅을 기름지게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마십시오.
'가슴이 터질 듯한 불안을 사랑하라'
20대는 그야말로 불안덩어리입니다. 20대의 에너지는 불안이 창출해내는 에너지입니다. 에너지를 솟구치게 만들고 싶으면 불안을 잔뜩 껴안아야 합니다. 어중간한 행복에 만족한다면 불안은 즉시 사라집니다. 문제는 불안을 어떻게 긍정적인 쪽으로 발전시켜 나가느냐 하는 것입니다. 불안을 불안 자체로 끝내 버리거나, 불안의 울타리 안에서 노예가 되어 버리면 안 될 것입니다. 불안의 포로가 되지 않기 위해서 어중간한 만족에 안주하면서 제자리에 서 있으면 더욱 안됩니다. 불안을 스스로 떨쳐 버리기 위해 온 힘을 다하는 것, 그게 바로 20대가 가진 힘입니다.
'유비무환의 정신을 일상화하라'
듣는다는 것은 매우 주체적이고 적극적이며 능동적인 행동입니다. 상대에 대해 모르면 절대 질문할 수 없습니다. 공부를 할 때에 모르는 것이 많이 나오고, 그것은 꿈에 가까이 다가가고 있다는 뜻입니다. 우선 상대에 대해 속속들이 공부합시다. 진심으로 알고 싶은 열의가 있다면 마구 질문을 퍼부을 것입니다.
'주제파악은 처음부터 무시하라'
사회의 정보화가 발달하면 할수록, 전체 속에서 자신의 위치가 어디쯤 되는지 극명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자신의 분수를 잘 파악하게 됩니다. 나보다 잘난 사람에게 뒷자리를 양보하고 나는 내 분수에 맞게 아예 처음부터 꼬리를 내리고 아랫자리로 가겠다는 식입니다. 나는 이렇게 하고 싶다든지 이것을 좋아한다고 사람들 앞에서 선언하면, 그것이 실현되지 않았을 때의 충격을 두려워하는 게 오늘의 20대입니다. 자기 분수를 아는 것과 4시선다형 문제에서 해당 하나를 찾는 것은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분수 따위는 한번 멋지게 무시하고서 한 계단 높은 곳으로 달려가 봅시다. 자기보다 잘난 사람에게 윗자리를 양보하겠다는 것, 양보도 아니고 겸손도 아닙니다. 그것은 패배주의 입니다.
'궁지에 몰릴 때까지 손을 뻗어라'
20대는 가능성을 확대시키는 시기입니다. 그러나 누구나가 자신의 뜻대로 잘 되지 않는 것이 바로 20대 입니다. 그렇게 수없이 벽에 부딪히면서 내가 할 수 있는 게 이것 밖에 없다는 것이 저절로 보이게 되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20대는 '이것이야 말로 내가 할 수 있는 것이다' 라고 생각되는, 바로 그것과 만나기 위해 있는 것입니다. 가능성을 좁히면서, 결국 가능성을 넓혀가는 것이 20대입니다.